글 목록

2017년 7월 31일 월요일

AutoCAD_ 주 사전을 찾을 수없습니다. 철자 검사기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 Unable to find main Dictionary. Could not start speller


명령어 Text를 실행했는데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뜹니다.





해당 메세지의 원인은 dct파일(dictionary / 사전)이 <C:\Program Files\Autodesk\AutoCAD 20xx\Support> 폴더에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Text에서 철자검사가 불가능하게 됩니다.(Text 명령어 사용하는데는 문제없습니다.)



dct 파일이 있을경우 "fetfhaha"의 글자를 보면 철자가 틀렸기때문에 글자밑에 빨간 점선이 그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dct파일이 없으면 철자검사기를 적용할 수 없기때문에 철자가 틀려도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dct파일은 주 사전으로 인식되어 <C:\Program Files\Autodesk\AutoCAD 20xx\Support> 폴더에 저장됩니다. dct 파일 확인을 위해서 [옵션 대화창 - 파일탭 - 문자편집기, 사전 및 글꼴 파일 이름 - 주사전]을 들어가보니 "사용 가능하지 않습니다" 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철자를 검사할 dct파일이 없으니 Text명령에서 철자 검사가 불가능합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 이미지 같은 dct파일을 구해서 <C:\Program Files\Autodesk\AutoCAD 20xx\Support> 폴더에 집어넣어야 합니다. 하지만 dct파일들을 구할수 없다면 AutoCAD를 기본셋팅 리셋을 하셔야 합니다. 



dct파일을 해당 폴더에 넣었다면 [옵션 대화창 - 파일탭 - 문자편집기, 사전 및 글꼴 파일 이름 - 주사전] 에서 확인해보니 여러 언어의 사전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되면 Text명령에서 경고메세지가 안뜨면서 철자검사가 가능하게 됩니다.

AutoCAD_ 드라이버나 장치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Device not found


인쇄하기 위해서 플롯대화창 - 페이지설정 - <이전 플롯>을 선택하니까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뜹니다.





소프트웨어에서 인쇄하기위해서는 프린터 장치와 연결시키는 드라이버가 필요하듯이 오토캐드에도 인쇄하기 위해서는 해당 프린터장치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위 에러메세지 같은경우는 DWG To PDF.pc3라는 파일(인쇄 드라이버와 다름)이 오토캐드 지원파일경로(Support File Path)에 등록되지 않아서 생기는 오류입니다. 같은 예시로 pc3파일말고 <이전플롯>에서 프린터 장치 드라이버가 없거나 손상된 드라이버를 선택되어졌을때 위와 같은 메세지가 뜰 수 있습니다.



DWG To PDF.pc3의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서 [옵션 대화창 - 파일탭 - 프린터 구성 검색] 경로의 폴더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폴더에 들어가봅니다.

※appdata폴더는 숨겨진 폴더이여서 숨김폴더를 해제하셔야 합니다.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14201/windows-show-hidden-files) -숨김 폴더 표시하는 방법



해당폴더에 들어가보면 오토캐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인쇄 pc3 파일들이 있습니다. (PDF, JPEG, PNG 등) 그래서 DWG To PDF.pc3 파일을 이 폴더안에 넣어야만 오토캐드에서 인쇄할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pc3파일이 없는 경우 오토캐드를 기본 셋팅 리셋을 하거나 <C:\Program Files\Autodesk\AutoCAD 20xx\UserDataCache\Plotters> 해당 폴더에 가서 pc3 백업파일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프린터 드라이버가 손상된 경우 드라이버를 완전 삭제후 재설치 하시거나 해당 드라이버의 이전버전상태로 돌려놓고 사용해 보셔야 합니다.

2017년 7월 28일 금요일

AutoCAD_ 매크로(Macro)

매크로란 여러 명령어를 하나의 키 입력 동작 으로 묶어서 복잡하고 반복적인 일을 동작 하나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쉽게말하면 사용자의 반복적인 동작을 기록해서 하나의 동작으로 수행할수 있게 만드는 기능입니다.
이런기능이 오토캐드에도 있습니다!!.
(대신 오토캐드2009부터 사용가능합니다.)




매크로 #1
1. 관리탭에서 빨간박스안에 기능들이 매크로 관련 기능들입니다.


매크로 #2
2. 기록버튼을 누르면 십자가 커서에 녹화표시가 뜹니다. (명령어 ACTRECORD)


매크로 #3
3. 녹화상태로 바뀌면 명령어를 수행할때마다 동작트리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기록하게 됩니다.


매크로 #4
4. 우선 간단하게 몇가지 명령어를 입력해봤습니다.


매크로 #5
5. 매크로로 만들 명령어를 다 입력했으면 정지 버튼을 눌러줍니다. (명령어 ACTSTOP)


매크로 #6
6. 정지버튼을 눌렀으면 동작매크로 파일저장 대화창이 열립니다. 여기서 저장되는 파일은 확장자 ACTM으로써 타 사용자와 공유가능하며 오토캐드를 재설치 했어도 파일만 가져오면 언제든지 사용가능합니다.


매크로 #7
7. 저는 방금 만든 매크로파일을 Test1이라 이름지었고 매크로를 사용하기위해서 재생버튼을 눌러줍니다.


매크로 #8
8. 위이미지와 같이 매크로가 담긴 정보를 한 동작안에 수행하고 끝내면 완료 메세지가 나옵니다.




몇가지 팁이 있다면 명령어 사용할때 대화창이 열리는 명령어는 쓰지않는게 좋습니다. 이유는 대화창이 열리면 매크로가 잠시 중단되기 때문입니다. (대화창 명령어는 명령어 앞에 - 붙여서 쓰시면 됩니다. 예시 -PURGE)

또한 매크로 기능중에 명령어 시작 좌표를 보실 수 있는데 시작 좌표의 기준점을 바꾸거나 매크로 실행중 직접 좌표값 입력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2017년 7월 27일 목요일

AutoCAD_해당 도면 파일은 보다 최신 버전의 AutoCAD에서 작성되었으므로 열 수 없음 / Drwaing file is not vaild


도면을 열었는데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뜹니다.


(간혹 "도면파일이 유효하지 않음" 메세지가 나옵니다.)



이런경우 도면의 버전이 사용하는 캐드버전보다 더높은경우 열 수 없게 됩니다.
예로들어 사용하는 AutoCAD버전이 2012인데 도면의 버전이 2013인경우 위와같은 메세지가 나옵니다.





해결책 Autdesk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DWG TrueView를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줍니다. (https://www.autodesk.co.kr/products/dwg/viewers)



DWG Trueview를 실행 했으면 Home 탭에 있는 DWG Convert를 눌러줍니다.



DWG Convert 대화창에서 버전을 변경하고 싶은 도면을 불러옵니다.



변경하려는 포멧을 선택하고 Convert를 누릅니다.




도면 버전 변경에 자세한 내용은 이전에 포스트했던 자료들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2017년 7월 26일 수요일

AutoCAD_ 파일을 읽기 전용으로 열겠습니까? / xxx.dwg is currently in use or is read-only


도면을 열었는데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뜹니다.






이런경우 네트워크상에 해당 도면이 이미 열려 있어서 도면을 수정불가능한 읽기전용 파일로 바뀝니다. 하지만 꼭 네트워크상에 도면이 열려있지 않아도 다른 이유 때문에 읽기전용 파일로 바뀔수 있습니다.





첫번째 해결책 도면의 속성창에 들어가서 읽기 전용이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해봅니다. 체크가 되있다면 해제해 줍니다. 읽기전용 체크 박스가 읽기전용 도면으로 바꿔주는 역할입니다.



두번째 해결책 보안탭에 들어가서 사용자 사용권한에 허용 체크가 되있는지 확인합니다.
권한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고급 설정에 들어갑니다.



도면을 열어볼 사용자 보안주체를 선택하고 편집을 눌러줍니다.



모든 권한을 체크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읽기전용 파일을 수정가능한 파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세번째 해결책 dwl확장자라고 도면 잠금 파일이 있는데 (같은 도면을 네트워크상에서 수정 불가능하도록 존재하는 파일) 도면을 안전하게 종료시 dwl 파일도 안전하게 제거됩니다. 하지만 도면을 강제종료 시킬 경우 dwl파일은 사용자 컴퓨터에 남게 됩니다. 그래서 dwl 파일 특성이 도면을 읽기전용 파일로 만드는 원인이 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도면을 열지 않았는데도 dwl파일이 있다면 반드시 지워야합니다.



2017년 7월 24일 월요일

AutoCAD_ 오토리습 사용하기

오토리습은 오토캐드의 독자적 프로그래밍 언어로써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래밍을 짜고 명령어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그렇다보니 도면작업간 반복적인 업무들을 오토리습을 통해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상황에맞게 직접 만들거나 외부로부터 리습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사용하곤 합니다.
이번에는 오토리습 파일들을 도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응용프로그램 로드#1

1. 관리 탭에서 응용프로그램 로드를 누르시거나 명령어 APPLOAD 하시면 응용프로그램 로드 대화창을 여실 수 있습니다.



응용프로그램 로드#2

2. 응용프로그램 로드 대화창에서 LSP, VLX, FAS로 이루어진 파일들이 오토리습 언어로 만들어진 파일들이므로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고 로드하시면 리습 파일들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외에도 여러 응용프로그램을 로드할때도 여기서 로드하시면 됩니다.



응용프로그램 로드#3

3. 필요한 오토리습파일을 로드했으면 현재 도면에 로드된 응용프로그램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응용프로그램 로드#4-1

응용프로그램 로드#4-2

4. 리습파일을 한번 로드하면 해당 도면에만 일시적으로 등록되는데 항상 도면에 로드 되기위해서는 목차를 누르면 시작하기 세트 대화창이 열립니다. 여기에다가 항상 로드할 리습파일들을 등록 하면 됩니다.


응용프로그램 로드#5

5. 사용내역리스트에 들어가시면 해당도면에 사용했던 리습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신 사용내역에 추가 버튼을 체크하셔야 합니다.


AutoCAD_ 도면 저장할때 저장 대화창이 안뜹니다!


도면을 작업하고 저장하려는데 저장 대화창이 뜨지않는다면 당황 하실것입니다.
그래도 명령어가 수행이 된다면 시스템변수 설정 변경에 의해 작업 방식이 바뀐것입니다.





도면을 저장하기 위해 SAVE 버튼을 눌렀지만 돌아오는건 명령어식 도면저장입니다.



이럴땐 시스템 변수 FILEDIA 값을 1로 바꿔줍니다.



변수값을 변경했다면 도면을 저장할때 대화창에서 저장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저장대화창이 뜨지않을경우의 예시로 들어봤습니다. FILEDIA 변수의 경우 저장대화창 뿐만아니라 OPEN, SAVEAS, XATTACH, RECOVER, MAPIINSERT의 대화창 제어 변수입니다.

항상 FILEDIA의 변수값은 1로 설정되어있지만 작업자도 모르게 값이 바뀔수도 있습니다. 그럴경우 시스템 변수 모니터 기능을 사용하면 변수값 변동사항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https://chikongcad.blogspot.kr/2017/06/autocad_17.html)




2017년 7월 22일 토요일

AutoCAD_ 제품 언어 변경하기

이미 설치되어있는 오토캐드의 제품 언어를 바꾸는 방법입니다.

https://knowledge.autodesk.com/ko/support/autocad/downloads/caas/downloads/downloads/KOR/content/autocad-language-packs.html

오토캐드 언어를 바꾸기 위해서는 위 링크에 들어가서 모듈형태인 언어팩을 설치해야합니다.



#1

1. 언어팩 설치 사이트에서 현재 설치되어있는 오토캐드 버전에 맞게 선택합니다.



#2

2. 변경하고 싶은 언어를 선택하고 설치합니다. (예시로 한국어를 선택했습니다.)



#3-1
#3-2
#3-3


3. 언어팩 설치과정입니다.



#4


4. 설치가 완료되면 기존에 설치했던 영어버전과 언어팩으로 설치되어진 한국어버전도 같이 사용 가능합니다.

2017년 7월 21일 금요일

AutoCAD_ 선 객체 변환 시켜보기

선에는 Line, Polyline, Spline을 대표적으로 많이쓰이고 그외에도 선으로 이루어진 많은 객체들이 있습니다. 각 선 마다 장,단점들이 있고 도면작업하는데 상황에 맞게 쓰이곤 합니다. 하지만 도면 작업하다보면 선 객체를 바꿔야하는데 어떤기능을 써야지 바뀔 수있는지 일일이 찾기도 힘들기 때문에 제가 선 객체별 전환 시키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LINE


1. Poly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PEDIT 쓰거나 Arc와 Line을 명령어 JOIN으로 결합시키면 바뀝니다.


POLYINE


1. 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EXPLOAD 사용하시면 됩니다. (Polyline이 곡선일경우 Arc로 변환됩니다.)

2. 2DPoly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CONVERTPOLY 입력후 Heavy 옵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3. 3DPoly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리습인 2D3DPoly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2D3DPoly

CADSTUDIO에 들어가셔서 2D3DPOLY 검색후 VLX파일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4. Sp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PEDIT 입력후 Spline 기능 사용하시면 됩니다. (2DPolyline으로 바뀌긴 하지만 선의 기본 속성은 Spline입니다.)


2DPOLYLINE


1. 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EXPLOAD 사용하시면 됩니다. (2DPolyline이 곡선일경우 Arc로 변환됩니다.)

2. Poly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CONVERTPOLY 입력후 Light 옵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3. Sp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SPLINEDIT 사용하시면 됩니다. (단 2Dpolyline이 Spline형태이어야 합니다. POLYLINE에서 4번 참고바랍니다.)


3DPOLYLINE


1. 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EXPLOAD 사용하시면 됩니다. (3DPolyline이 곡선일경우 Arc로 변환됩니다.)

2. 2DPoly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리습인 PL32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PL32

홈페이지에서 Download This Tip 버튼을 누르면 LSP파일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SPLINE


1. Poly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FLATTEN을 쓰시거나 명령어 SPLINEDIT 입력후 Convert to Polyline 기능을 쓰시면 됩니다.


XLINE


1. RAY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BREAK 쓰시면됩니다.


RAY


1. 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BREAK 쓰시면 됩니다. (Line과 RAY로 쪼개집니다.)


MULTILINE


1. Line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명령어 EXPLOAD 사용하시면 됩니다. (Multiline이 곡선일경우 Arc로 변환됩니다.)





#선 객체 변경표

2017년 7월 13일 목요일

AutoCAD_쉐이프(Shape) - 2

SHX 파일은 SHP파일이 압축된 포멧으로써 Shape의 정보를 수정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Shape정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SHP 파일에서 수정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Shape 정보를 수정해야하는데 SHX 파일만 가지고 있다면 어디서 SHP 파일을 구할 수도 없고 참으로 난감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SHX 파일을 SHP파일로 바꾸는 방법에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Dumpshx.exe라는 DOS형태의 명령 프롬포트가 있습니다. (Dumpshx.exe는 Express tools를 설치해야만 생깁니다.)
(C:\Autodesk\AutoCAD_20xx_English_Win_xxbit_dlm\x64\acad\Program Files\Root\Express) 파일 경로나 윈도우 검색에서 Dumpshx.exe를 검색해서 찾아봅니다.


Shape #2

2. 찾은 Dumpshx.exe를 SHP파일로 변경할 SHX파일이 있는 폴더에 옮겨 놓습니다.
저는 예시로 Helix.shx파일을 변경해 보겠습니다.

Shape #3

3. 다음은 (윈도우키+단축키R) 윈도우 실행도구에서 cmd를 실행합니다.

 Shape #4

4. cmd의 명령어창 경로를 SHX가 들어있는 파일 경로로 등록합니다.
등록하는 방법은 명령어창에서 cd C:\ xxxx \ xxxxx \ xxx 이런형식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Shape #5

5. 이제 SHX 파일을 SHP 파일로 변경하기 위해서 명령어 창에서 dumpshx Helix.shx > Helix.shp 라고 입력해 줍니다. (dumpshx SHX파일명 > SHP파일명)


 Shape #6

6. 명령어를 입력했으면 #6이미지처럼 폴더안에 SHP파일이 생성되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